- 86kjoon
[여름성경학교3] 2과 반짝! 새로워졌어요
본 문 요한복음 3장 1~21절
읽을말씀
“그러나 진리를 행하는 자는 빛으로 오니, 이는 자기 행위들이 하나님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려는 것이다”(요한복음 3장 21절).
[한밤중에 예수님을 찾아온 니고데모]
요한복음에서 ‘밤’은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니고데모는 엘리트에 속한 부유한 귀족으로서 바리새인이며, 유대인의 지도자였습니다. 그는 당시 대제사장들과 함께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습니다.니고데모는 예수님을 “랍비여”(유대교의 전문적 선생의 지위)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실상 그는 예수님이 행하시는 표적을 듣고 알았지만, (유대 당국과 같이) 그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지금, 그는 예수님께 사회적으로 도전을 던지고 있습니다.
1. “위로부터 나지 않으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다.”
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사람이 “새로 나야”(거듭나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니고데모는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4절, “사람이 늙어서 어떻게 태어날 수 있습니까? 자기 어머니 뱃속에 두 번째 들어갔다가 태어날 수 있습니까?”).
2.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않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
예수님은 다시 니고데모에게 ‘물과 성령’으로 나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물과 성령’으로 나는 것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탄생’을 의미합니다. ‘물’은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를 설명하는데, 곧 사람은 성령으로 말미암아 깨끗케 되는바, ‘새로운 영적 생명’을 얻게 됩니다.
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길로서의 인간의 모든 노력, 모든 바리새적 율법 준수를 단번에 끊어버리셨습니다(6절). 거듭남, ‘중생’이란 오직 위로부터 나는 것이고, 하나님으로부터 나는 것이며, 성령으로 나는 것입니다.
[새로운 생명을 주시는 예수님]
그러나 니고데모는 예수님을 말씀을 믿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니고데모의 교만에 대하여 책망하시면서 그에게 다시 말씀하셨습니다.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같이 인자도 들려야 할 것이니”(14절).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거역하여 죽게 되었을 때, 하나님은 놋 뱀을 들어 그것을 보는 자마다 살게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제, 하나님은 그분의 독생자, 곧 인자의 들림을 통하여 자기 백성을 구원하실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위로부터 임하는 영생은, 오직 예수님의 낮아지심, 특별히 “십자가에 들리심”(죽으심)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진리를 따르는 자]
하나님은 그분의 유일하신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하나님의 사랑의 나타내셨습니다(16절). 그러나 오직 그를 ‘믿는 자’만이 예수님이 주시는 것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빛이 오셨을 때, 비로소 세상은 자신의 어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또 어둠은 그 빛을 미워하기 때문에 빛으로 나아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믿는 자’는 빛으로 ‘나아옵니다’. 믿는 자, 곧 ‘진리를 따르는 자’는 하나님을 통하여 그리스도가 누구인지 알고, 믿습니다.
[생각하기]
세상이 어둠 속에 있을 때, 어둠은 자기의 어둠을 알지 못했습니다. 빛이 어둠에 왔을 때에야, 비로소 어둠은 어둠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나 어둠은 (이미 심판을 받고서도) 계속 어둠이 머물기를 원했습니다. 이것이 모든 인간에게 있는 뿌리 깊은 ‘죄의 본성’입니다.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어떠한 육신으로도, 영의 일을 할 수 없습니다.
거듭남, 곧 새로운 생명을 얻는 것은 오직 ‘위로부터’ 옵니다. 성령 하나님은 예수님이 이루신 모든 유익을 자기 백성에게 나누어주십니다. 바로 그 ‘하나님을 통하여’, 우리는 비로소 빛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그래서 거듭난 자는 진리를 따릅니다. 거듭난 자는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하나님이 누구신지 알며, 빛 가운데서 유일한 구원을 발견합니다.
새 생명으로부터 믿음이 깨어나는 순간, 믿음은 말씀과 연계되고, 이 말씀을 들을 때, 믿음은 새 생명 안에서 자라게 됩니다(엡 3:16). 그러므로 거듭난 자는 더 이상 죄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비록 이 땅에서 죄성은 남아 있지만, 죄의 지배를 받지 않습니다. 성령 안에서 죄와 더불어 싸우며 승리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자녀들은 어떠할까요? 특별히 언약의 자녀들에 대하여,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며,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일까요? 우리의 많은 자녀들은 아직 너무 어려서 실상 그들의 믿음과 회심의 행위로 거듭남을 드러낼 수 없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언약의 자녀들의 구원에 대하여 (지나치게) 두려워하거나, 하나님께 대하여 의심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구원의 확신이 성경, 곧 하나님의 말씀 가운데 있듯이, 우리 자녀들의 거듭남 역시, 하나님의 말씀 가운데 약속되었기 때문입니다(창 17:7, 행 2:39, 고전 7:14).
하나님은 공적 설교뿐만 아니라 부모와 교사를 통해 전해지는 말씀과 가르침을 통해서도 믿을 수 있는 힘과 믿음의 능력을 주시며, 믿고자 하는 의지와 믿음 자체도 주십니다. 그 엄청난 소명과 책임의 의무가 바로 우리 부모와 교사에게 맡겨진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아이들이 아직 자신들의 영적 생명을 믿음과 회심의 행위로 드러낼 수 없다 하여 그들의 구원을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내 언약을 너와 네 자녀에게 세워 영원한 언약이 되게 하겠다.”라고 약속하신 하나님의 언약을 믿으며, 그 믿음 가운데 더욱 자녀들을 주의 말씀과 훈계로 가르치는 데 힘써야 할 것입니다.
성령님은 우리의 자녀들을 거듭나게 하시며, 하나님의 때와 방법을 따라 그들의 믿음과 회심, 그리고 성화 가운데 자녀들의 거듭남을 확증하실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은혜가 우리 모든 가정 가운데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우리의 자녀들이 세상의 어둠 속에서 빛을 따르고, 죄의 가장 깊은 곳에서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자로 자라나기를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