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75문 제8계명에서 금하는 것

작성자 사진: 병철 안병철 안

최종 수정일: 2022년 9월 19일

제75문: 제8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제8계명이 금하는 것은 우리와 이웃의 부와 재산의 증진을 부당하게 방해하거나 방해될 만한 일을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돈을 사랑치 말고 있는 바를 족한 줄로 알라 그가 친히 말씀하시기를 내가 과연 너희를 버리지 아니하고 과연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담대히 가로되 주는 나를 돕는 자시니 내가 무서워 아니하겠노라 사람이 내게 어찌하리요 하노라.”(히 13:5-6)

지난 시간에는 8계명이 명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8계명은 단순히 도둑질만을 금하는 계명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일함으로써 부와 재산을 합법하게 얻고 증진시켜야 한다는 것을 명령합니다. 타락하여 그 마음이 부패한 사람은 열심히 수고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일은 적게 하고 많은 부를 얻기를 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생각을 좇지 말아야 하고 열심히 땀을 흘리고 수고하며, 하나님께서 수고의 열매로 얻게 해주시는 것들로 감사하며 만족해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또한 8계명은 우리가 가진 것들을 하나님과 이웃을 위해 사용할 것을 명령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심은 하나님을 예배하고 이웃을 섬기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온 삶이 하나님을 섬기는 삶이 되도록 하여야 하고, 특별히 우리 시간의 일부를 떼어 개인적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는 일을 힘써야 합니다. 또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고백하면서 감사함으로 헌상하는 일, 또한 우리 주변의 힘이 없고 연약한 친구들을 돕는 일을 힘써야 합니다.

오늘은 75문을 통해 8계명에서 금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75문의 답을 함께 읽어봅시다. “제8계명이 금하는 것은 우리와 이웃의 부와 재산의 증진을 부당하게 방해하거나 방해될 만한 일을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8계명이 금하는 것은 도둑질입니다. 우리는 도둑질이라고 하면 다른 사람의 집에 몰래 들어가 돈이나 물건을 훔치는 행위, 무장한 강도가 은행을 터는 이미지를 상상합니다. 그러면서 우리 자신은 그런 도둑질과는 아무 관계 없다고 생각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도둑질하지 말지니라”고 말씀하실 때에는 위에서 말한 것들보다 더 많은 것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부주의함으로 다른 사람의 재산에 손해를 끼친 것도 도둑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 22장 5-6절은 고의는 아니지만 부주의함으로 다른 사람의 재산에 손해를 끼친 경우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사람이 소나 낙타 같은 짐승을 자기 밭에서 먹이고 있을 때, 그가 한 눈을 판 사이에 자기 짐승이 다른 사람의 밭으로 넘어가 먹었다면 어떻게 해야한다고 하셨을까요? 짐승의 주인은 자기 밭의 가장 좋은 것으로 배상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학교에서 친구들과 장난을 치다가 학교의 기물을 파손시켰다든지, 친구의 집에 놀러가서 친구의 장난감을 손상시켜 놓고도 모른척하고 지나간다면 이런 것도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이런 경우는 어떨까요? 여러분이 길을 지나다가 길에 떨어져 있는 5만원짜리 지폐를 발견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출애굽기 23장 4절을 읽어봅시다. “네가 만일 네 원수의 길 잃은 소나 나귀를 만나거든 반드시 그 사람에게로 돌릴지며.” 길에서 주은 그 돈이 설령 여러분을 못살게 구는 미운 친구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반드시 돌려주라고 말씀하십니다. 만약 그렇게 주은 돈을 취하거나 주인을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도 나몰라 한다면 그것 역시 다른 사람의 재산에 손해를 끼친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을 속이는 것 역시 도둑질입니다. 여러분이 어떤 물건을 구입할 때, 물건의 가격이나 질을 신중하게 따져보고 좋은 물건을 사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물건을 파는 사람이 실제 그 물건이 가진 가치를 속이고 과도하게 선전하여 물건을 팔아 이익을 보았다면, 그 역시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잠언 20장 17절은 이런 방식으로 이익을 본 자들은 복이 없으며 오히려 저주가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속이고 취한 식물은 맛이 좋은 듯하나 후에는 그 입에 모래가 가득하게 되리라.” 하나님께서는 이런 식으로 얻은 것들을 결코 복이 될 수 없게 만드실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또 여러분이 다른 친구들과 함께 협력하여 어떤 과제나 일을 할 때에 여러분에게 주어진 몫을 다하지 않는 것도 일종의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해야 할 책임을 다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면, 다른 누군가는 여러분이 해야 할 그 책임을 대신 감당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다른 사람들은 더 큰 부담을 안게 되고 결과적으로 여러분의 게으름은 여러분이 속한 조의 친구들 전체에게 피해를 주게 될 것입니다. 마치 이가 상해 음식물을 씹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몸의 다른 장기들에 과부하가 걸려 온 몸이 상하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잠 25:19).

이처럼 우리는 다른 친구들의 눈에 보이는 것들에 손해를 끼칠 수 있을 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도 손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다른 친구의 명예나 평판에 부당한 손실을 준다면 그것 역시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학교에서 A라는 친구의 좋지 않은 면을 B나 C라는 친구에게 옮긴다면, 여러분은 A친구의 명예를 도둑질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A친구의 좋지 않은 면은 사실이 아닐 수도 있고 또 부분적으로만 사실일 수도 있습니다. 또 이야기가 전해지는 과정에서 사실이 점점 왜곡되거나 부풀려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이야기를 다른 친구들이 듣게 되면 그 친구들은 A라는 친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요? 그 친구를 깔보고 업신여기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여러분은 A친구의 명예를 도둑질한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다른 사람의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것을 도둑질할 수도 있습니다. 죄악된 방법으로 우리 자신의 돈이나 재산을 축내는 것 역시 도둑질입니다. 여러분이 즐거움과 쾌락을 위해 여러분에게 주어진 시간과 건강과 재물과 모든 자원들을 허비하고 정작 필요한 일에 그 모든 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면,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의 것을 도둑질한 것과 같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도둑질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제8계명은 이 모든 종류의 도둑질을 정죄하면서 그것을 금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8계명을 범하는 죄로부터 우리 자신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요? 겉으로 드러나는 모든 죄의 근원은 마음에 있는 것처럼, 8계명을 범하는 죄 역시 그러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도둑질하는 우리 마음의 문제, 탐심을 다루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이 탐심으로부터 벗어나 자유하게 될 수 있을까요?

그것은 선하신 우리 하나님을 굳게 신뢰하는 것입니다. 히브리서 13장 5절에서 사도 바울은 “돈을 사랑치 말고 있는 바를 족한 줄로 알라”고 합니다. 모든 탐심을 버리고 하나님께서 지금 우리에게 주신 것으로 만족하라는 말입니다. 그러면서 하나님께서 자녀된 우리에게 하신 약속을 언급합니다. “그가 친히 말씀하시기를 내가 과연 너희를 버리지 아니하고 과연 너희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히 13:5) 그렇습니다. 온 하늘과 땅의 주인이 되시는 크신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를 버리지 아니하시고 떠나지 않으신다는 사실을 믿고 하나님 아버지를 신뢰할 때, 우리는 우리가 처한 어떤 형편에서도 만족할 수 있고 그때에 모든 탐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선하심을 신뢰하고 만족하며 마음의 탐욕을 잠재우는 좋은 연습법을 알려드리고 설교를 마치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기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있다면 구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구하면 얻을 것이고 찾으면 찾을 것이고 문을 두드리면 열릴 것이라고 하셨습니다(마 7:7-8). 따라서 여러분이 여러분의 필요가 무엇이든 그것을 하나님께 구할 때, 그것이 여러분에게 해가 되지 않는 이상 하나님께서는 여러분에게 주실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도의 연습과 체험을 통해 여러분은 점점 더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과 주님 안에서 만족하는 법을 배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고상한 하나님의 자녀로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Comments


Yanguimoon Presbyterian Church

대한예수교장로회( 고려개혁 ) 양의문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1길 73-18( 사직동 304-43 )
T 02-733-5252 / F 02-723-0568

 

© 2023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