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2년 겨울성경학교 : 예배의 원리와 순서(1)

작성자 사진: Lee JumanLee Juman

예배의 원리 / 요 4:24


1. 예배에 관하여 알아야 하는 이유


올해 겨울성경학교에서는 예배에 관하여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예배에 관하여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근본적인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지으시고, 구원하신 이유가 바로 하나님을 예배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예배에 관하여 공부해야 하는 보다 실제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가 교회에 와서 가장 먼저 하는 일, 가장 많이 하는 일이 바로 예배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예배에 관하여 잘 알지 못합니다. 예배가 무엇인지, 예배를 왜 해야 하는지, 예배 시간에 하는 순서들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른채 예배하다 보면 우리는 의미 없는 형식적 예배를 드리기 쉽고, 어느새 예배가 지루하고 따분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우리가 예배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예배할 때, 하나님께 보다 합당한 예배를 드릴 수 있고 하나님의 은혜를 더욱 풍성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2. 예배의 정의, 사적인 예배와 공적인 예배


‘예배’라는 말의 의미를 먼저 생각해 봅시다. 예배란 하나님의 크신 영광 앞에 엎드려 절하는 것입니다(송용조 목사님). 달리 표현하면 예배란 하나님께 합당한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배란 말의 의미가 매우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예배란 우리가 주일에 교회당에 모여서 예배하는 것 이상입니다. 그래서 이 예배를 보통 사적인 예배(private worship)와 공적인 예배(public worship)으로 구분하여 생각합니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21장 6항).


사적인 예배란 신자가 개인적으로 드리는 예배를 말하는데요. 개인의 경건 시간이나 가정 예배 등이 사적인 예배에 속합니다. 그리고 신자가 자신의 삶을 하나님이 기뻐하실 만한 거룩한 예배로 드리는 것 또한 사적인 예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여러분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성실하게 학업을 감당한다면, 그것을 여러분의 삶으로 드리는 예배라 말할 수 있는 것이지요.


공적인 예배, 줄여서 ‘공예배’란 교회로 함께 모여서 드리는 예배를 말합니다. 사적인 예배에서는 개인과 가정의 상황과 형편에 따라 예배의 형식과 순서를 정하여 드리지만, 공예배의 경우는 여러 사람이 모여 예배하기 때문에 정해진 형식과 질서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이번 겨울성경학교에서 생각해 보려고 하는 주제는 예배 중에서도 이 공예배에 관한 것입니다. 공예배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날, 곧 주일에 모든 성도가 함께 모여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을 높이고, 그분의 말씀을 듣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개개인으로 부르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한 교회의 일원으로,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의 지체로 부르셨기 때문에 모든 그리스도인은 주일에 함께 모여 공적으로 예배해야 합니다. 나는 매일 삶으로 예배하고 개인적으로 예배하니 굳이 주일에 교회에 모여 예배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모든 예배가 중요하지만 공예배는 특별히 중요합니다. 공예배가 모든 (사적인) 예배의 기초가 되기 때문입니다. 한 주간의 첫 날에 드린 공예배에 기초하여 우리는 나머지 6일 동안에도 예배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3. 예배의 원리, 참되고 바르게 예배하기 위하여


예배라고 해서 다 참되고 바른 것은 아닙니다. 거짓된 예배, 잘못된 예배도 있습니다. 우리의 신앙고백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개개 교회들은 복음의 교리를 가르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성례의 시행에 따라, 공적 예배의 수행에 따라 더 순수하게 되기도 하고 덜 순수하게 되기도 한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25장 4항). 공예배의 수행에 따라 교회의 순수함이 결정됩니다. 공예배가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합당하게 시행되지 않을 때 교회는 여러 가지 오류 속에서 혼란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예배를 드리기 위한 중요한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규정적 원리입니다. 하나님께서 성경에 우리가 어떻게 예배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가르쳐 주셨기 때문에, 성경이 규칙으로 정한대로 예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어떻게 예배해야 하는지 요한복음 4:24에서 다음과 같이 가르쳐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우리는 하나님께 영과 진리로 예배해야 하는데요.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우리의 의와 공로를 의존하지 않고, 성령님을 의존하여, 성령님께서 은혜로 적용하시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공로를 의지하여 예배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진리로 예배한다는 것은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이 가르쳐 주는대로 예배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배의 규정적 원리는 십계명의 제2계명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2계명은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할 때에 이방인들과 같이 우상을 만들어 섬기는 방식으로 하지 말라는 명령입니다.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우리는 형상을 만들어 예배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이 정해주신 방식대로 예배해야 한다는 원리를 ‘예배의 규정적 원리’라고 말합니다.


규정적 원리를 이해할 때 주의할 부분이 있는데요. 우리가 어떻게 예배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성경이 분명하게 가르쳐 주는 규칙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 정해진 규칙대로 예배해야 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의 주보에 있는 예배 순서와 같이 확정된 지침을 주지는 않습니다. 즉 말씀과 성례, 기도와 찬송과 같은 예배의 요소에 관하여서 성경이 가르치는 대로 따라야 하지만, 찬송을 몇 번 부를 것인지, 헌상을 설교 전에 할 지 후에 할 지와 같은 순서에 관한 부분과, 헌금을 예배 중 바구니를 돌려서 할 지, 예배당에 들어갈 때 헌금함에 넣을지와 같은 형식에 관한 부분은 교회의 정황과 지혜를 따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신앙을 고백하는 교회들이 예배 순서와 형식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예배의 본질적인 요소에 있어서는 일치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언약적 원리입니다. 언약이란 하나님과의 사귐(교제)입니다. 언약적 원리는 예배란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이 언약적인 관계 안에서 서로 대화를 주고 받으며 교제하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언약이란 창조주 하나님께서 자신을 낮추셔서 피조물인 사람에게 찾아오시고, 특별한 관계를 맺으시는 것을 말합니다. 이 언약 관계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께 반응합니다. 예배가 이와 같습니다. 우리가 보통 예배를 드린다고 말하는데요. 자칫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기만 하는 일방향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배는 쌍방향적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찾아오셔서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 있고,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가 드리는 것이 있습니다. 이때에 중요한 것은 이 관계를 먼저 시작하시고 주도하시는 분이 하나님이라는 사실입니다. 즉 예배는 우리가 먼저 하나님께 나아가서 하나님의 반응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먼저 찾아오셔서 우리를 부르시는 하나님께 합당한 반응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언약적 원리에 따라 예배의 순서는 마치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이 대화하며 교제하는 것처럼 진행됩니다. 예배의 요소 중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것들은 예배로의 부름, 십계명 교독, 사죄의 복된 말씀, 설교, 성찬, 축도(강복 선언)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의 요소로는 찬송, 죄의 고백, 신앙고백, 기도, 헌상 등이 있습니다. 언약의 당사자인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러한 요소들을 서로 주고 받으면서 인격적인 교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로 예배입니다.


오늘은 예배의 정의와 원리에 관하여 생각해 보았습니다. 특별히 예배의 두 원리, 곧 규정적 원리와 언약적 원리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요. 오늘 주일 예배를 드릴 때 이 두 원리를 잘 생각하면서 예배합시다. 다음 시간부터는 예배의 요소와 순서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겨울성경학교를 마칠 때에는 주보에 있는 주일 예배 순서의 의미를 잘 이해하며 예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적용과 나눔을 위한 질문


1. 여러분은 예배할 때 예배의 요소와 순서에 관하여 궁금했던 적이 있었나요? 어떤 것이 궁금했는지, 궁금했던 것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2. 사적인 예배와 공적인 예배를 비교하여 설명해 보세요.


3. 예배의 두 가지 원리(규정적 원리, 언약적 원리)에 대하여 설명해 보세요.


4. 오늘 배운 내용을 잘 적용하여서 하나님께 더욱 합당한 예배를 드리고, 예배 중에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를 더욱 풍성히 누릴 수 있도록 서로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Comments


Yanguimoon Presbyterian Church

대한예수교장로회( 고려개혁 ) 양의문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1길 73-18( 사직동 304-43 )
T 02-733-5252 / F 02-723-0568

 

© 2023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